최근에 트위치 CEO가 스트리밍 방송에 직접 나와서 한국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고 직접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한국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 이유를 간단하게나마 밝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트위치 코리아 한국 서비스 종료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트위치 코리아 한국 서비스 종료 원인
트위치 코리아가 2023년 12월 6일에 한국 서비스를 종료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사업은 2024년 2월 26일까지만 운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종료를 선언하고 세 달 정도의 기간을 준 것은 스트리머들을 배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트위치 코리아 한국 서비스를 종료한 원인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 망 사용료
- 트위치 수익구조
망 사용료의 개념은 현재 대한민국에만 존재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망 접속료만 존재합니다.
망 접속료의 경우에는 망을 사용할 때 입장료를 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외국에서는 이러한 개념만 존재합니다. 그래서 얼마나 많은 트래픽을 사용하는지는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망 접속료만이 아니라 망 사용료까지 부과하고 있습니다. 망 사용료는 트래픽을 사용하는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다른 나라에 비해 대한민국에서 온라인 사업을 진행하면 기업들은 어마무시한 망 사용료를 통신사에게 납부해야 하는 것입니다.
트위치 코리아는 망사용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화질을 720p 수준으로 완화하고, 다시 보기를 없앴습니다. 그래도 트위치 코리아에서는 망 사용료 비용으로 인해 사업을 지속하기 어렵다고 말하며, 한국 서비스 종료를 선언했습니다.
일각에서는 트위치 코리아의 수익구조를 다른 플랫폼처럼 변경하면 되지 않냐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위치 입장에서는 한국에서만 운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잘 사용되고 있는 수익구조를 한국만을 위해 바꾸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타 플랫폼으로의 이적
트위치에서 방송을 하고 있던 스트리머들은 트위치가 서버를 종료하면서 새로운 플랫폼으로의 이적이 불가피해졌습니다. 현재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플랫폼은 유튜브, 아프리카 TV, 치지직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치지직은 네이버에서 이번에 새로 론칭하는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실제로 트위치와 네이버 사이에서 스트리머의 미래를 위한 논의를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치지직으로 수월하게 이적하는 스트리머들이 꽤 많습니다. 하지만 치지직은 네이버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정부의 규제를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방송 수위에 대한 걱정이 많습니다.
유튜브와 아프리카 TV로의 이적은 몇몇 스트리머들만 있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같이 일을 하던 스트리머들과 떨어지게 되면 합방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많은 스트리머들이 모이는 치지직으로 가고 싶어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롤 방송을 많이 하는 스트리머들은 롤 대회가 자주 열리는 아프리카 TV로의 이적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튜브와 넷플릭스의 한국 서비스 철수 가능성
트위치가 망 사용료로 인해 한국 서비스 종료를 공식화하면서 일각에서는 유튜브와 넷플릭스도 한국을 떠나면 어떡하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한국 서비스를 철수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SK 브로드밴드와 망 사용료 때문에 소송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서로 합의에 성공해 소송은 중단되었습니다. 그리고 유튜브 또한 한국에 서버를 만들어 현재 망 사용료를 별도로 납부하고 있지 않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래서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한국 서비스를 종료할 가능성이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트위치 코리아 한국 서비스 종료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